건강검진결과표, 제대로 이해하는 방법
건강검진결과표는 내 몸의 건강 상태를 한눈에 보여주는 중요한 진단 도구이자 생활 관리 지침입니다.
"건강검진"와 관련된 내용을 모두 하나의 글에 정리하기엔 너무 많은 정보가 있어, 여러 포스팅으로 나누어 소개드리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건강검진", 그 중에서도 "건강검진결과표"에 대해 집중적으로 설명합니다.
"건강검진"에 대한 전체 내용을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여기를 통해 관련된 모든 글을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목차>>
1. "건강검진결과표" 자료 핵심요약 2가지
1) 결과표 기본 구조
2) 혈액검사 핵심 지표
2. 그 밖에 알아두어야 할 정보 4가지
1) 간·신장 기능 항목
2) 소변·염증 검사
3) 암표지자 항목
4) 관리와 상담 지침
1. "건강검진결과표" 자료 핵심요약 2가지
1) 결과표 기본 구조
건강검진결과표는 우선 정상, 주의, 의심, 질환 등 네 가지 등급으로 나눠져 있습니다. 건강검진결과표에서 ‘정상A’는 특별한 조치 없이 유지 가능한 상태임을 뜻합니다. ‘정상B’는 수치는 정상이지만 식습관이나 운동으로 관리하면 좋다는 뜻입니다. ‘질환 의심’ 또는 ‘유질환자’로 나올 경우 추가 진료 또는 이미 치료 중임을 의미합니다. 실제로 A씨는 처음엔 정상B였으나 식습관 개선 후 다음 검진에서 정상A로 바뀌었습니다. 이처럼 건강검진결과표는 상태에 맞춘 조치를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설계돼 있습니다.
2) 혈액검사 핵심 지표
건강검진결과표에는 혈당, 혈색소, 총콜레스테롤, HDL·L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등 혈액검사 주요 항목이 포함됩니다. 공복혈당 126 mg/dL 이상이면 당뇨 의심이며, HbA1c도 함께 보면 당뇨 장기 위험도를 가늠할 수 있습니다. 남녀 혈색소 기준은 각기 다르며, 기준 이하일 시 빈혈을 의심합니다. LDL 콜레스테롤이 130 mg/dL 이상이거나 HDL이 낮을 경우 이상지질혈증 경고입니다. 중성지방이 150 mg/dL 이상일 때도 추가 점검이 필요합니다. 실제로 B씨는 중성지방 수치 상승 후 운동 시작으로 정상 범위로 복귀했습니다.
2. 그 밖에 알아두어야 할 정보 4가지
1) 간·신장 기능 항목
건강검진결과표에는 간기능 검사(AST, ALT, r‑GTP, 빌리루빈 등)와 신장기능 검사(BUN, 크레아티닌, eGFR 등)가 포함됩니다. AST·ALT 수치가 51U/L 이상이면 간세포 손상을 의심합니다. r‑GTP가 남성 63IU/L, 여성 35IU/L 이상이면 알코올성 간 손상이나 지방간 가능성이 큽니다. 크레아티닌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거나 eGFR이 60 이하일 경우 신장 기능 저하로 추가 진단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C씨는 AST·ALT 상승으로 간초음파 추가 검사를 받았습니다. 이처럼 건강검진결과표는 주요 장기의 기능 상태를 조기에 확인할 수 있게 합니다.
2) 소변·염증 검사
건강검진결과표에는 요단백, 요잠혈, 요당, 요PH와 CRP, ESR 같은 염증 지표도 포함됩니다. 요단백 양성이면 단백뇨로 신장 질환이 있을 가능성이 생깁니다. 요잠혈 양성은 소변에 혈액이 섞여 있다는 뜻으로 비뇨기계 질환이나 결석 의심이 됩니다. CRP나 ESR의 수치 상승은 전신 염증이나 자가면역 질환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D씨는 요단백 미세 양성으로 1개월 후 재검에서 정상으로 돌아왔습니다. 이처럼 건강검진결과표는 단순 수치뿐 아니라 체계적 모니터링 기능이 있습니다.
3) 암표지자 항목
일부 건강검진결과표에는 암표지자 검사 결과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AFP, CEA, CA‑125, PSA 등이 있으며 해당 수치 상승 시 추가 진단이 권고됩니다. 예컨대 AFP 수치가 정상보다 높으면 간암 가능성을, PSA 상승은 전립선 이상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암표지자는 단독 진단보다는 다른 검사와 종합해 해석해야 정확합니다. 실제로 E씨는 PSA 경미 상승에 전문의 상담 후 경과관리를 받았습니다. 이처럼 건강검진결과표는 암 위험도 평가에도 활용됩니다.
4) 관리와 상담 지침
건강검진결과표를 받았다면 첫 번째로 자신의 등급과 수치 변동을 기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치가 정상B이거나 의심 등급이면 식습관·운동·수면 개선을 권장합니다. 의심 또는 질환 등급일 때는 전문의 상담과 추가 검사 계획이 필요합니다. 재검 권고 항목이 나올 경우 3~6개월 이내 추적 검진이 좋습니다. 실제로 F씨는 정기 추적검사를 통해 이상이 조기에 발견되어 치료받았습니다. 따라서 건강검진결과표는 단순 숫자 이상으로 내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든든한 지침서입니다.
혹시 "건강검진" 정보가 더 필요하신가요?
아래에서 "건강검진" 관련
모든 글을 무료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